안녕하세요. "기억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담아내는 "리멤버미" 입니다.
이전에 디스플레이 반도체 기초를 설명하면서 Gate 신호에대해 설명 드렸었는데요.
※ 디스플레이 구동 및 Gate 신호 개념 설명 ↓
[전자/디스플레이/반도체]디스플레이용 반도체의 기초!! (디스플레이도 반도체다?!)
안녕하세요. "기억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담아내는 "리멤버미" 입니다. 흔히들 반도체라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떠올리곤 합니다.거의 모든 전자기기에는 반도체칩이 들어가고 그 중심에
remembermeeternally.com
한번더 설명 드리자면 FHD 해상도에서 (1920×1080)를 기준에서 가로방향으로 들어가는 신호 line이 1080개이며 1frame을 구성하기위해 1080개의 신호가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들어가는 신호가 Gate 신호입니다.
(60hz = 1초에 60frame = 1frame은 16.7ms = 1line에 들어가는 gate 신호는 15.4us)
15.4us 라는 짧은 시간에 gate신호가 1개 line에 입력되고 사라집니다.
이렇게 1080개 Gate line에 신호를 순차적으로 넣어주는 회로를 Gate Driver Circuit 혹은 Scan Driver circuit 이라고 합니다.
us단위의 짧은 시간에 신호가 들어갔다 나오면서 1초에 60frame의 영상을 만들어내는게 신기하죠.
이게 디스플레이의 매력인거 같습니다.
us단위의 짧은 시간이다 보니 신호가 입력되었다 출력되는 시간에 따라 화상 이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신호가 닿은 처음 pixel과 마지막 pixel간에 시간차이로 인한 화상 이상을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Gate 신호가 입력되면 1개 line에 1920개의 pixel의 Switching Transistor가 열리게 되고 우리가 만들고자하는 영상 정보를 담은 Data 신호가 입력되게 됩니다.
Gate driver 또한 순차적인 신호를 발생시키기위해 Switching Transistor가 여러개로 구성되어있는데요
us 단위의 짧은 시간에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선 Transistor가 정확하고 빠르게 동작해야겠지요?
일전에 디스플레이의 반도체 재료에는 a-Si, Oxide ,LTPS가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 중에서 LTPS가 가장 전자 이동도가 빨라 응답속도가 빠르기때문에 높은 해상도와 높은 주사율를 가진 디스플레이를 설계할 수있게 하죠.
그리고 OLED와 u-LED는 Driving Transistor가 있기때문에 정확한 전류량을 조절하긴 위해서도 LTPS가 가장 적합합니다.
하지만 LTPS는 균일도에의해 대면적화가 어렵고 비싸다는 단점이 있긴하지만요.
지금까지 Gate Driver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Gate Driver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설명하는 자료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기억하고 싶은 지식 > 디스플레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디스플레이/회로]NMOS PMOS Inverter 동작 원리와 특성 (0) | 2023.01.26 |
---|---|
[전자/디스플레이/회로]NMOS PMOS Inverter 동작 (디스플레이에서는 왜 CMOS가 아닌 NMOS PMOS로 만 회로 설계 할까?) (0) | 2023.01.24 |
[전자/디스플레이/회로]CMOS Inverter 동작 (0) | 2023.01.23 |
[전자/디스플레이/회로]Gate Driver(Scan Driver)가 필요한 이유는? (0) | 2023.01.17 |
[전자/디스플레이/반도체]디스플레이용 반도체의 기초!! (디스플레이도 반도체다?!) (0) | 2023.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