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억하고 싶은 지식/인사이트3 [전자기기/디스플레이/사양] 스마트폰,태블릿,노트북,TV 살 때 꼭 알고 사야 하는 디스플레이 사양에는 무엇이 있을까 안녕하세요. "기억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담아내는 "리멤버미" 입니다. 여러분들은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TV를 구매하실때 무엇을 보고 사시나요? 브랜드나 디자인이 1순위이신분들도 있고 성능 및 서비스가 1순위이 분들도 계시겠죠 그리고 소개해드린 전자기기에는 모두 디스플레이가 들어가지만 많은 소비자 분들은 디스플레이 사양을 유심히 살펴보진 않습니다. 물론 제품을 선택하실때 후순위일수는 있지만 선택에 있어 알아두면 좋은 디스플레이 사양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1. 디스플레이유형 LCD (IPS,VA)or OLED 2. 인치 (inch) 3. 해상도 (Resolution) 4. 주사율 (Refresh Rate) 5. 밝기(luminance) 6. 명암비or대비율(Contrast Ratio) 7.. 2023. 2. 23. [전자/TV/디스플레이] "마이크로LED"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성공할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기억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담아내는 "리멤버미" 입니다. 전자제품에 관심이 있다면 한번쯤 들어봤을 단어 "마이크로LED" 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성공할 수 있을까요? (마이크로LED = Micro LED = u-LED)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은 LCD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해 OLED 그리고 마이크로LED가 잇따라 주목받고 있습니다. 현재 TV시장에서는 아직 LCD의 점유율이 더 높지만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OLED로 대부분 대체 되고 있으며 마이크로LED는 TV시장에 먼저 출현하게 됩니다.(그 이유는 뒤에서 설명드릴게요) 바로 2021년 3월 출시된 삼성전자의 110인치 마이크로LED가 그것인데요. 가격은 1.7억으로 책정되어 일반소비자가 구매하기엔 무리가 있는 가격이었죠. .. 2023. 2. 23. [전자/디스플레이/전망]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 왜 중국에 위협을 받는가 (22년 삼성 디스플레이 6조 흑자 vs LG 디스플레이 2조 적자 ?!) 안녕하세요. "기억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담아내는 "리멤버미" 입니다. 1960년대 부터 약 40년 간 안방을 차지하고있던 CRT (브라운관) TV는 이제 찾아 보기 힘든데요. 2000년대 처음 LCD TV가 등장하면서 디스플레이 산업은 급속도로 성장하기 시작합니다. LCD는 점점 "큰 사이즈" , "높은 해상도", "높은 색재현율" , "얇은 디자인", "얇은 베젤"로 소비자 Needs를 충족시켜 갔고 2010년 부터 정점을 찍기 시작했습니다. 2000년대 후반 OLED도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AMOLED (손담비의 아몰레드 cf송 기억하시나요?)가 그것이죠. 이때부터 글로벌 디스플레이시장의 양대산맥이었던 삼성과 LG의 사업 전략의 차이가 보였던거 같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TV 부.. 2023. 1.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