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억하고 싶은 지식32 [전자/디스플레이/회로]Gate Driver(Scan Driver) 란?! 안녕하세요. "기억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담아내는 "리멤버미" 입니다. 이전에 디스플레이 반도체 기초를 설명하면서 Gate 신호에대해 설명 드렸었는데요. ※ 디스플레이 구동 및 Gate 신호 개념 설명 ↓ [전자/디스플레이/반도체]디스플레이용 반도체의 기초!! (디스플레이도 반도체다?!) 안녕하세요. "기억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담아내는 "리멤버미" 입니다. 흔히들 반도체라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떠올리곤 합니다.거의 모든 전자기기에는 반도체칩이 들어가고 그 중심에 remembermeeternally.com 한번더 설명 드리자면 FHD 해상도에서 (1920×1080)를 기준에서 가로방향으로 들어가는 신호 line이 1080개이며 1frame을 구성하기위해 1080개의 신호가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2023. 1. 15. [OpenAI/ChatGPT] ChatGPT의 (글쓰기/소설 편) 사용 소감 안녕하세요. "기억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담아내는 "리멤버미" 입니다. ChatGPT의 놀라운 성능을 다시한번 느껴보고자 소설과 리뷰를 작성해달라고 해보겠습니다. 1. 중세시대 남녀 사랑이야기를 소설로 요청 2. 맛집 리뷰 작성 요청 조건을 걸고 소설을 써달라고 해봤더니 AI가 소설을 써내려갔으나 조건에 너무 제약을 받은 탓일까요. 그래도 전쟁으로 두사람이 갈라졌고 여주가 남자를 떠난 이유 그리고 여주의 새로운 삶으로 인한 이별로 끝맺으며 창작해 냈습니다. 그렇다면 다시 조건을 없애고 요청해봤는데요 ChatGPT는 앞서 질문한 내용을 기억한다고 해서 결국 비슷한 내용으로 창작됐습니다. 이번에는 전쟁으로 헤어졌다 다시 만났지만 왕국의 정치적압박으로 인한 이별로 그려냅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맛집 리뷰를 .. 2023. 1. 14. [OpenAI/ChatGPT] ChatGPT 놀라운 성능이네요! 유료화 될 것인가?! (ChatGPT 질문 : 주식/부동산편) 안녕하세요. "기억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담아내는 "리멤버미" 입니다. OpenAI의 ChatGPT가 요즘 핫합니다. 정확한 자연어처리와 방대한 지식을 훈련한 Chat GPT는 어떤 분야를 질문해도 답변을해주고 소설을 쓰기도 하며 Code를 만들어주기도 하는등 수시간에서 몇일을 투자해야하는 업무도 단 몇초안에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ChatGPT는 유료화 될 까요? 최근 ChatGPT에서 프로패셔너널이라는 유료버전을 공개하고 테스트를 위한 대기자를 받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아직 가격은 책정되지 않았구요. 현재 많은 이들의 관심으로인해 ChatGPT의 운영비용이 크게 상승하여 유료버전 Open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런 관심은 ChatGPT의 실수를 잡아주고 끊임없는 학습을 시켜주어 더욱 모.. 2023. 1. 14. [전자/디스플레이/반도체]디스플레이용 반도체의 기초!! (디스플레이도 반도체다?!) 안녕하세요. "기억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담아내는 "리멤버미" 입니다. 흔히들 반도체라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떠올리곤 합니다.거의 모든 전자기기에는 반도체칩이 들어가고 그 중심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있기 때문이죠 그런데 디스플레이를 만들기 위해서도 반도체 공정이 필요하다는걸 알고계신가요? 오늘은 디스플레이용 반도체의 기초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 디스플레이에 왜 반도체가 필요할까? 2.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반도체칩과 디스플레이 반도체는 무엇이 다른가? 3. 디스플레이 반도체는 앞으로 어떻게 발전될 것인가? 반도체(semiconductor)란 전기가 흐르는 도체(conductor)와 전기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insulator)의 중간 성질을 가지고 있어 전기가 흐르면 1, 전기가.. 2023. 1. 12. [전자/디스플레이/전망]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 왜 중국에 위협을 받는가 (22년 삼성 디스플레이 6조 흑자 vs LG 디스플레이 2조 적자 ?!) 안녕하세요. "기억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담아내는 "리멤버미" 입니다. 1960년대 부터 약 40년 간 안방을 차지하고있던 CRT (브라운관) TV는 이제 찾아 보기 힘든데요. 2000년대 처음 LCD TV가 등장하면서 디스플레이 산업은 급속도로 성장하기 시작합니다. LCD는 점점 "큰 사이즈" , "높은 해상도", "높은 색재현율" , "얇은 디자인", "얇은 베젤"로 소비자 Needs를 충족시켜 갔고 2010년 부터 정점을 찍기 시작했습니다. 2000년대 후반 OLED도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AMOLED (손담비의 아몰레드 cf송 기억하시나요?)가 그것이죠. 이때부터 글로벌 디스플레이시장의 양대산맥이었던 삼성과 LG의 사업 전략의 차이가 보였던거 같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TV 부.. 2023. 1. 11.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